부동산 투자

전세가율 하락의 의미 (월급쟁이부자들)

songbaeg 2023. 3. 28. 14:08

POINT.

 

통상적으로 상급지 물건의 경우, 전세가율은 주변 평균 전세가율에 비해 낮다.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가치 비율이 높다.)

 

통상적으로 하급지 물건의 경우, 전세가율은 주변 평균 전세가율에 비해 높다.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가치 비율이 낮다.)

 

현재 시장의 전세가율 하락 환경  →  전세 하락이 매매 하락 보다 크기 때문

 

통상적으로 전세 약세는 매매 약세를 부른다.

 


My note. 전세가율이 50% 붕괴 후 다시 50%를 회복하는 시점, 60% 정도까지 상승하는 시점을 앞으로 눈여겨 보자.


 


아래 컬럼과 같이 연결해서 보면 좋을 듯...


[참고]

2023.03.10 - [부동산 투자] - 전셋값 전세가율 분석 (월급쟁이부자들)

 

전셋값 전세가율 분석 (월급쟁이부자들)

POINT. 전세가율 50% 미만으로 떨어짐 ↓↓↓ 전세가율 50% 회복 후 상승 ↓↓↓ 전세가율 60% 근처까지 상승 ☞ 매수 기회 검토!!! 전세가율 10% 상승하는데 개략 2년 정도 걸림 ☞ 조급하면 안된다!!!

songbae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