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학원에서 배웠던 벌집순환모형을 실제적으로 이렇게 자세히 유의미하게 분석한 것은 처음으로 본다. 몇억의 가치가 있는 분석 도구와 무료 강의 내용이라고 본다.
분석하는 자세를 보았을 때, 손품왕님도 제야의 고수 중 한 분으로 짐작이 된다.
전세가율, 거래량, 미분양, PIR, 주택구매부담지수 등 여러가지 중요한 지표에 더불어 '벌집순환모형 분석'을 추가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각종 부동산 지표 분석을 통한 부동산 변화 시점의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중요한 지표들은 시장 분위기와 흐름 파악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손품왕님의 '벌집순환모형'도 합리적인 숫자와 방법으로 분석한 내용의 의미가 있기에 중요한 지표로 반영하면 도움이 될 듯 하다.
벌집순환모형 Point
* 개략 8년 주기 순환 (현재까지 데이터 상 개략 그러하므로, 순환 년수는 변동 가능함을 고려)
* 거래량은 계절과 같이 특이한 시점에 따라 변동폭이 다양하게 생기므로, 이를 유연한 흐름으로 바꿔서 봄.(HP필터 적용)
* 매매가격은 명목가격이 아닌 실질가격기준으로 봐야 함. 그래야 순환모형이 나옴.
* 벌집순환모형으로 보았을 때, 현재 시점 기준으로 서울/인천/수도권의 경우 2~3년 정도면 매수시점이 도래 (8년 순환주기 적용 시)할 수 있지만, 이는 정확한 예측이 아님. 지표가 계속 오랫동안 정체(보합)된다면 시점이 더 밀릴 수 있고, 지표가 어떤 요인에 의해 급작스럽게 변화할 경우 시점이 더 빨라질 수도 있기 때문. 따라서 순환모형을 주기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음.
https://blog.naver.com/whitefre/223043907088
벌집순환모형으로 보면..아직 서울 하락은 더 남았다.
벌집순환모형은, 주택시장은 벌집모형처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간다는 얀센의 주택경기사이클 모형입니...
blog.naver.com
http://youtube.com/watch?v=CbXibnCbjjA&feature=youtu.be
'부동산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주택과 세금 (국세청 발행) (0) | 2023.04.20 |
---|---|
전세가율 하락의 의미 (월급쟁이부자들) (0) | 2023.03.28 |
전셋값 전세가율 분석 (월급쟁이부자들) (0) | 2023.03.10 |
서울 아파트 거래량 분석 (월급쟁이부자들) (0) | 2023.03.10 |
장래 가구수(세대수) 추계 _ 2020년 통계청 기준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