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7 PC부재 공장방문 점검 현장에 들어오는 주요 자재 중에서 특히 품질관리가 중요한 자재들은 공장점검을 수시로 나가 봅니다. 주로 현장 품질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감리단과 시공사 관계자들이 공장을 방문하게 됩니다. 자재 회사 규모는 어떤지, 우리 현장 자재를 잘 만들고 있는지, 자재 품질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품질 상태는 양호한지, 자재 물량이 기한 내에 현장 반입 가능한지 등등 궁금한 점을 다양하게 체크해 봅니다. 잘 관리되는 공장을 방문했을 때는 뿌듯하면서도 안도감이 드는 반면에 미흡한 공장을 방문했을 경우에는 현장에 돌아오면서 업체를 바꿔야 하나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미흡한 공장의 경우에는 수시로 관리 상태를 직접 체크함으로써 간섭이 많아지게 됩니다. 업체 선정에서는 결국에 돈의 문제가 중요시 되긴 하지만.. 2022. 10. 27. 현장 콘크리트 불합격 자재 반출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하는 날이면 현장 품질관리자들의 업무들도 많아 집니다. 샘플로 몇개 시험했는데 불합격 나오면 자재를 납품하는 사람이나 불합격이라고 말하는 사람이나 서로가 민망해집니다. 그러나 현장의 품질관리 기준은 철저하게 지켜야 할 절대적인 상위 기준으로서 반드시 준수를 해야 합니다. 콘크리트의 경우, 슬럼프 테스트에서 불량이 자주 나오는 데요. 주로 작위적이든 무작위적이든 물의 양이 배합 시에 증가함으로서 콘크리트가 묽어지게 되고, 이는 추후 양생 후 강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잘 관리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레미콘 차량에 부착된 물통의 밸브를 조작해서 현장 도착 직전에 운전자들이 물을 추가로 주입하곤 했었습니다. 그러다가 현장 관리자에게 잘 못 걸리면 싸우기도 하고 했지요. 아래 사례는 레미콘.. 2022. 10. 27. PC부재 설치 검측 PC(Precast concrete) 공법은 공장에서 주요 구조부재인 기둥, 보, 슬라브 등을 미리 제작한 후 운반하여 현장에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RC공법(현장 거푸집+콘크리트타설)에 비해 공사기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겠죠. 자재 반입 시에는 PC부재의 파손/크랙은 없는지, 표면은 양호한지, 치수는 정확한지, 매설물/개구부는 정확한 위치에 있는 지 등등 하자가 없는 자재인지 잘 보아야 합니다. 자재 길이가 긴 경우에는 현장 운반 시 사전에 도로 현황을 체크한 후 자재를 실은 차량 길이와 회전 반경도 잘 따져 봐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운반 차량이 현장에 진입을 못해서 회차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자재에는 양중할 때 필요한 운반용 Hook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Hook의 상태도 잘 .. 2022. 10. 26. 내화페인트 도장 검측 내화폐인트는 주요구조부 철골구조에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요. 화재 예방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잘 관리해야겠죠. 내화도장은 철제 바탕처리와 도막 구께가 중요한 체크사항입니다. 철제면에 이물질이 남거나 깨끗하지 않는 등 도장 바탕면의 처리가 불량할 경우, 추후 시간이 지나면 도장이 벗겨지고 탈락하게 되며, 도막 두께가 기준에 미달할 경우에는 내화성능이 떨어집니다. 아래는 내화도장 검측 사례입니다. 도막두께가 기준을 초과했는지 잘 체크해야 합니다. 2022. 10. 25. 바닥 평활도 공장이나 창고 등과 같이 바닥이 중요한 건물의 경우에는 바닥 평활도를 측정하여 관리합니다. 바닥이 울퉁불퉁하다면 지게차 등이 이동할 때 지게차에 실은 물건들이 이탈하거나 넘어질 수도 있겠지요. 또는 랙 설비를 세웠는데 바닥이 경사져있다면, 나중에 화물을 랙에 쌓아 올렸을 때, 하중 불균형에 의해 랙 설비가 전도될 염려도 있습니다. 따라서 바닥 평활도는 공장이나 창고같은 건축물의 본 공사에서 중요한 공정으로 관리가 되어야 합니다. 바닥 평활도는 평탄도(Flatness)와 레벨차(Levelness) 두가지를 측정하며, 국내에서 적용하는 측정 기준은 주로 영국(TR 34) 또는 미국(F-Number) 기준을 적용합니다. 물류창고에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기준은 영국 TR34 _ FM3 (미국 F-Number _ .. 2022. 10. 21. 현장 자재검수는 어떻게 ? 현장에 자재가 들어오게 되면 먼저 시공사에서 자재검수 요청서를 작성하여 감리단에게 제출합니다. 감리단은 관계서류를 확인하고 직접 입회하여 검수를 한 다음 적합/부적합 결과를 통보하게 되죠. 불량자재가 있는 경우에는 반출도 합니다. 많은 자재 중에 중요한 자재는 주요자재검사 수불부를 작성하고, 불량자재가 반출된 경우에는 불합격자재 처리부를 작성해야 합니다. 아래 사진은 PC부재의 자재 검수 사례입니다. [ 불합격 자재 처리부 ] 2022.10.27 - [건축] - 현장 콘크리트 불합격 자재 반출 현장 콘크리트 불합격 자재 반출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하는 날이면 현장 품질관리자들의 업무들도 많아 집니다. 샘플로 몇개 시험했는데 불합격 나오면 자재를 납품하는 사람이나 불합격이라고 말하는 사람이나 서로가 민망 .. 2022. 10. 2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