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Quest

파이프라인 우화 (버크 헤지스)

by songbaeg 2023. 8. 28.

 

2015년 12월 초판 발행.

 

가볍고 부담없는 책.

 

책의 분량도 적고, 사이즈도 아주 아담하며, 내용도 어렵지 않아 금방 읽힌다.

중고등학생도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듯하다. 

 

군더더기 없이 간략하게 압축하여 파이프라인의 필요성을 얘기하고 있다.

 

로버트 기요사키의 파이프라인 이야기, 복리 72의 법칙, 체스 발명가가 상으로 받은 쌀 이야기 등 익숙한 내용들이 첨가되어 있다.  

 


책 속으로


 

백만장자가 되기 위한 3단계 실천

 

1단계 : 돈을 벌고 재산을 모으는 방법을 이해한다.

2단계 : 성공 가능성이 검증된 돈을 버는 방법을 그대로 모방한다.

3단계 : 인내심을 갖고 끈기 있게 도전한다.

 

-

 

세상에 그 무엇도 당연히 주어져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

 

새는 알을 깨뜨려야 날 수 있다.

 

-

 

물통을 나르며 사는 삶 = 시간과 돈을 맞교환하는 삶.

원할 때까지 물통을 나를 수 있는 게 아니다.

안정된 직장은 그저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

물통을 나르는 사람은 주변 상황이 약간만 변해도 곧바로 불안정한 상황에 놓인다.

물통을 나른 대가로 받은 돈은 평생 받을 수 있는 인세수입이나 영구적인 수입이 아니라 일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

 

치과의사의 물통도 다르지 않다.

물통을 나르는 삶은 불안정하다.

일할 수 없게 되면 수입은 사라진다.

이것이 바로 시간과 돈을 맞교환하는 일의 함정이다.

이 함정에 걸려든 사람에게 가장 큰 문제는 피치 못할 사정으로 일을 그만두면 수입이 한 푼도 생기지 않는다는 점이다.

 

-

 

물통을 나르는 것을 왜 당연시하는가?

 

대다수가 물통을 나르는 것을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일로 착각한다.

그래서 전 세계 인구의 99%가 오늘도 열심히 물통을 나르고 있다.

그들은 인생에서 원하는 것을 얻는 유일한 방법은 열심히 물통을 나르는 것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

 

나그네쥐 사고방식 

 

대다수가 가는 길이 옳다는 사고방식.

'10만 마리의 쥐가 모두 틀릴 리는 없지.'

사람들은 물통을 나르는 일에서도 이런 생각을 한다.

다시 말해 '1억 명이 물통을 나른다면 그것은 틀린 게 아니다'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틀렸을 수도 있다.

 

-

 

우리는 학교에 가서도 열심히 물통을 나르는 법을 배운다.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직장에 들어가야 성공할 수 있다는 편견에 가까운 가르침을 받는 것이다.

물론 그렇게 졸업장을 얻으면 다른 사람보다 더 큰 물통을 나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일단 직장에 들어가 하루 종일 쉬지 않고 물통을 나른다.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더 큰 물통을 나를 수 있는 직장을 찾아간다.

더 많은 물통을 나르기 위해 더 오랫동안 일하기도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용하는 물통의 종류는 변한다.

처음에는 쇠 물통을 나르다가 어느 정도 일에 익숙해지면 플라스틱 물통으로 바꾼다.

좀 더 시간이 흐르면 플라스틱 물통은 디지털 물통으로 바뀐다.

 

-

 

물통을 나르는 사람이 더 많은 돈이 필요할 때 어떻게 할까?

오로지 열심히 물통을 나르는 것 외에 다른 길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그 생각 안에서만 해법을 찾는다.

다시 말해 돈이 더 필요하면 더 많은 물통을 나르면 된다고 여긴다.

 

-

 

물통이 아무리 커도 결국엔 마른다.

모든 물통은 결국 마르기 마련이다.

 

-

 

파이프라인의 물은 마르지 않는다.

 

물통이 아무리 커도 그 안에 물이 저절로 채워지는 것은 아니다.

열심히 채우지 않으면 물통은 비어버린다.

가령 은퇴하거나 질병, 상해, 과로 등의 변화로 더 이상 물통을 채우지 못할 경우 물통은 곧바로 말라버린다.

 

반면 파이프라인의 물은 마르지 않는다.

일단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면 물이 쉬지 않고 흐른다.

이 법칙은 작은 물통을 나르는 사람뿐 아니라 큰 물통을 나르는 사람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사실 물통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

큰 물통을 나르는 사람은 생활수준이 높아 그만큼 지출이 많기 때문이다.

진정 경제적으로 여유롭고 싶다면 파이프라인을 만들어야 한다.

 

-

 

많은 돈을 번다고 해서 반드시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것은 아니다.

아무리 큰 물통을 날라도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지 않으면 결국 그 물통의 물은 말라버린다.

 

-

 

커다란 상수리나무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1. 도토리 위에 앉아 씨앗이 거목으로 자라길 기다리는 것 → 50년 파이프라인 계획 (주식/채권/부동산/연금...)

2. 거목의 꼭대기로 기어 올라가는 것 → 5년 파이프라인 계획 (사업)

 

-

 

현재의 연속 그 자체가 인생이다.

어떤 사람은 영원히 찾아오지 않을 완벽한 시간을 기다리느라 인생을 그냥 허비하고 만다.

완벽한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마냥 뒤로 미루면 기다리기만 하다가 인생이 끝날 수도 있다.

 

-

 

현명한 사람은 삶의 전성기를 누릴 때 혹은 사업이 잘 풀리고 있을 때 자신을 돌아볼 줄 안다.

다시 말해 현명한 사람은 경기가 침체되기 이전에 미리 안전장치를 마련해 둔다.

절대로 경기가 가라앉고 있을 때가 아니다.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최적기는 경기가 바닥으로 내려갈 때가 아니라 그래도 지낼 만한 지금이다.

 

-

 

레버리지할 돈은 공평하게 주어지지 않는다.

반면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진다.

 

시간은 사람들을 평등하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간은 돈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이 경쟁할 수 있도록 해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