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지니스에서 가장 큰 비용을 치르게 만드는 요소는 바로 건망증이다. 뛰어난 기억력은 누구에게나 막대한 가치를 안겨준다.
한때 알았지만 잊어버린 것을 다시 배우는 데 사람들이 시간을 쓰는 동안 배운 것을 잊지 않는 사람은 앞으로 나아간다.
중요한 것에 대해 말하려고 할 때, 청중에게 어떤 인상을 남기고 싶은지를 생각해본다. 그리고 노트에 두서너 장 정도 메모하면서 주장과 사실을 어떻게 펼쳐나갈지 적는다. 때로는 정확한 표현을 위해 짧은 글을 쓰지만 대부분은 결론을 담은 한 단어나 한 줄의 문장만 쓴다.
1. 저명한 심리학자 칼 시쇼어 교수는 말한다. "평범한 사람은 타고난 기억력의 10%도 사용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기억의 자연법칙을 위반하며 90%를 낭비하고 있다."
2. '기억의 자연법칙'에는 인상, 반복, 연상 세 가지가 있다.
3. 기억하고 싶은 사물의 인상을 마음에 새겨라.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래의 네 가지를 기억하라.
1) 집중하라. 루스벨트 기억력의 비결이다.
2) 자세히 관찰하라. 분명하고 정확한 인상을 새겨라. 짙은 안개 속에서 사진을 찍으면 잘 나오지 않는 듯 흐릿하고 뿌연 인상만 머릿 속에 있다면 남아 있는 게 없다.
3) 가능한 한 많은 감각을 통해 인상을 새겨라. 링킨은 기억하고픈 내용을 소리 높여 읽었다. 시각적, 청각적 인상을 동시에 받기 위해서였다.
4) 무엇보다 눈으로 새겨라. 그렇게 새긴 인상은 오래 남는다. 눈에서 뇌로 이어지는 신경은 귀에서 두뇌로 이어지는 신경에 비해 20배가 더 많다. 마크 트웨인은 메모를 사용할 때는 해야 할 이야기의 개요조차 기억하지 못했다. 하지만 메모를 버리고 주제를 연상시키는 그림을 이용하자 모든 문제가 사라졌다.
4. 기억의 두번째 법칙은 반복이다. 수만명의 이슬람교 학생들은 모두 신약성서만큼이나 두꺼운 코란을 암기한다. 이들은 대체로 반복의 힘을 이용했다. 우리도 자주 반복한다면 무엇이든 외울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사실을 염두에 두자.
1) 어떤 것이든 외워질 때까지 무턱대고 반복하지 마라. 한두번 시도한 후에 잠시 쉬고 나중에 다시 반복해보라. 이렇게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하면 한 번에 외우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2) 어떤 것을 외우고 난 다음 처음 8시간 동안 잊어버리는 양이 그 후 30일에 걸쳐 잊어버리는 양보다 많다. 따라서 연설하러 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에 단 몇 분만이라도 메모를 검토하라.
5. 기억의 세번째 법칙은 연상이다. 어떤 것을 기억하는 유일한 방법은 다른 사실과 연관시키는 것 뿐이다. 윌리엄 제임스는 말했다. "무언가를 소개받을 때 그것은 이미 우리 머릿속에 있는 것과 관계가 있다. 이것은 당신이 생각하는 모든 것, 기억하는 모든 것에 적용된다. 자신의 경험을 더 많이 생각해보고, 그 경험을 체계적인 관계로 엮어내는 사람의 기억력이 더 좋다."
6. 하나의 사실을 머릿속에 이미 존재하는 다른 것들과 연관시키고 싶다면, 새로운 사실을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보라. 이런 질문을 던져보라. "이것은 왜 이럴까? 어떻게 이럴까? 언제 이렇게 되었을까? 어디에서 이렇게 되었을까? 누가 이렇다고 했을까?"
7. 낯선 삼람의 이름을 잘 기억하기 위해서는 '철자는 어떻게 쓰나요?' 등 이름에 관한 질문을 하라. 상대의 얼굴을 세밀하게 관찰하라. 그 사람의 이름과 얼굴을 연결해보라. 그가 무슨 일을 하는지 알아보고, 이름과 일을 연결하는 익살스러운 표현을 만들어라.
8. 날짜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당신에게 익숙한 유명한 날짜와 연관시켜 보라.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 탄생 300주년 되는 날 남북전쟁이 발발했다.
9. 연설의 요점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요점이 자연스럽게 다른 요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배열해야 한다. 주요 요점들로 익살스러운 문장을 만들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소는 시가를 피우며 나폴레옹을 낚았고, 그 집은 종교로 홀딱 망해버렸다."
10. 아무리 철저하게 준비해도 사람들 앞에서 연설하는 도중 말하려던 내용을 갑자기 잊어버릴 수 있다. 이런 때는 직전에 했던 말의 마지막 낱말, 구절 혹은 마지막 문장에 있었던 생각을 가져와 새 문장으로 시작해보라. 완전한 파국에서 벗어날 수 있다. 요점이 떠오를 때까지 이런 식으로 버텨라.
'Book Qu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 카네기 성공대화론 (성공적인 말하기의 필수 요소) (0) | 2023.01.05 |
---|---|
데일 카네기 성공대화론 (청중을 깨어 있게 만들어라) (0) | 2023.01.04 |
부동산 변곡점이 왔다 (1) | 2022.12.30 |
데일 카네기 성공대화론 (위대한 연설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0) | 2022.12.29 |
데일 카네기 성공대화론 (자신감은 철저한 준비가 만든다) (0) | 2022.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