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는 사람들이 부자가 되려고 하는 가장 큰 이유가 과시라고 했다. 사람들이 탐욕과 야망을 품고, 부를 추구하고, 권력과 명성을 얻으려는 목적은 다른 사람들이 주목하고, 관심을 쏟고, 공감 어린 표정으로 맞장구를 치면서 알아주는 것을 원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상대적인 빈곤감이 강남 아파트값을 올린다. 우리를 괴롭히는 것은 절대적인 빈곤이 아니라 상대적인 빈곤이다.
영원한 성장의 기반을 만드는 것은 기술이다
경제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술이며, 선진국은 기술을 개발해서 경제성장을 계속하기에 선두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기술은 내생변수이고 경제주체가 통제할 수 있는 변수이며, 이 기술을 잘 개발하면 계속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내생적 성장 이론이다.
지식과 기술이 많아지면 부는 폭발적으로 커진다
지식이나 기술은 비경합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와 냉장고는 누군가가 사용한다면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수량이 줄어든다. 그러나 지식이나 기술의 경우는 아무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다고 해도 줄어들지 않는다. 그래서 기술과 지식은 더 많이 공유할수록 부가 더 많이 늘어난다.
부는 지식과 기술에서 생겨나기 때문에 기술과 지식이 발전한 선진국이 후진국보다 성장에 유리하다. 해외 투자를 고려한다면 고민의 여지없이 미국 주식시장을 두드리면 된다.
20 대 80의 법칙 (파레토)
상위 20%가 전 세계 부의 80%를 가진다.
부동산 투자자라면 양극화의 흐름에 편승하는 게 유리하다. 지방이나 변두리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부자들이 사는 중심지에 투자하는 게 유리하다.
부동산 투자의 원리는 부자 동네랑 얼마나 가까운가에 있다. 인간은 자기가 살던 곳에서 멀리 이사 가기 싫어하는 '영토 본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블랙스완
스완은 모두 흰 백조만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어느 날 호수에서 블랙스완이 발견된 것이다. 이처럼 희귀하고 잘 나타나지 않는 현상을 블랙스완이라고 한다.
금융 상품의 실제 리스크는 수학적으로 계산한 확률보다 더 크다. 그러니 리스크 대비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직관 따위 접어 두고 냉정하게 판단하라
투자를 잘하려면 느린 생각 방식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빠른 생각 방식으로 생각하고 투자하기 때문에 실패한다고 한다. _ 노벨 경제학상 대니얼 카너먼
느린 생각은 저절로 떠오르지 않고 정신을 집중해야 할 수 있으며, 집중력과 에너지가 많이 소비된다. 느린 생각은 이성을 이용한 합리적인 생각 방식이다. 느린 생각은 빠른 생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난관에 부딪혔을 때 사용하는 생각 방식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95% 비율로 빠른 생각 방식을 사용한다. 단지 5%만이 느린 생각 방식을 사용한다. 느린 생각을 하려면 힘이 들기 때문이다.
빠른 생각은 잘못된 판단으로 유도하는 각종 편향에 영향을 받아서 실수하기 쉽다. 그래서 빠른 생각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과도한 자신감은 올바른 투자에 방해가 된다. 투자자들의 최대 실수는 과도한 자신감이다. 빠른 생각은 과도한 낙관론 편향을 갖고 있다. 낙관론 편향은 삶에 대체로 유익하지만 투자자를 실패로 유도하기도 한다.
투자를 올바르게 하려면 느린 생각으로 투자해야 한다. 감정과 편향에 따르지 않고 이성을 활용하여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향후 발생할 손실과 이익을 확률과 기댓값으로 주의 깊게 계산한 다음에 투자해야 한다.
'Book Qu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속성 (0) | 2022.12.19 |
---|---|
부의 인문학 (자본주의 게임에서 승리하는 법) (0) | 2022.12.13 |
부의 인문학 (주식 투자법) (0) | 2022.12.07 |
부의 인문학 (부동산 가격이 움직이는 메커니즘) (2) | 2022.12.02 |
부의 인문학 (노예의 삶을 선택한 사람들) (0) | 2022.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