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Quest

데일 카네기 성공대화론 (어떻게 끝낼 것인가)

by songbaeg 2023. 2. 2.

이야기의 마무리는 가장 전략적인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하는 말은 가장 오랫동안 기억에 남기 때문이다. 

 

"제 생각에 할 말은 다 한 것 같군요. 이제 그만 마치겠습니다." 이런 말은 하지 마라. 끝내겠다는 소리 예고 없이 끝마치라.

 

연설의 마무리를 미리 세심하게 계획하라. 어떻게 끝낼지 단어 하나까지 정확하게 외워라. 매끈하게 끝을 내라. 삐죽삐죽한 돌처럼 거칠고 모난 부분이 눈에 띄게 하지 마라.

 

말을 끝내는 일곱 가지 방법

1. 요약하고, 재진술하고, 간결하게 요점을 정리하라.

2. 행동에 호소하라.

3. 진심 어린 칭찬을 하라.

4. 웃음을 자극하라.

5. 적절한 시구를 인용하라.

6. 성경을 인용하라.

7. 클라이맥스를 조성하라.

 

훌륭하게 시작해서 훌륭하게 끝내라. 둘 사이는 짧을수록 좋다. 청중이 그만두길 원하기 전에 끝내라. "인기 절정인 순간이 지나면 사람들은 곧 싫증을 낸다."

 

결론은 이야기를 완성하고 연설에 대한 청중의 관심을 붙잡아둔다. 결론은 생각의 실타래를 하나로 모으고 씨실과 날실로 연설이라는 직물을 완성한다. 결론을 계획하고 낱말 하나까지 미리 생각해두어라. 어색하게 웅얼거리며 서둘러 끝내지 마라. 하고 싶은 이야기를 완전히 끝내고, 끝났다는 사실을 청중이 느끼게 하라.

 

시간과 설교 길이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긴 설교는 길게 느껴지는 설교일 뿐이다. 짧은 설교는 사람들이 더 많은 말을 기대하고 있는데 끝나버리는 설교다. 겨우 20분이 지났을 수도 있고 한 시간 반이 흘렀을 수도 있다. 만약 사람들이 더 듣고 싶어 한다면 시간에 상관없이 계속해야 한다. 따라서 시계로는 설교가 얼마나긴지 측정할 수 없다. 사람들의 손이 주머니로 들어가 시계를 꺼낸다면 불길한 징조다. 그들의 눈이 어디를 향하는지 보라. 그들의 정신이 어디 있는지 보라. 그러면 당신은 어느 정도 지났는지 알게 될 것이다. 그때가 아마도 끝내야 할 적절한 때일지도 모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