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2

경제적 자유에 이르는 역행자의 7단계 모델 그 동안 쉼 없이 달려왔던 나에게 새로운 가르침을 주는 좋은 책이어서 반갑구나. 길지 않은 인생에 있어서 역행자의 7단계 모델은 한번 따라봄직하다. ❚ 1단계 : 자의식 해체 - 열등감이 발동되었을 때 스스로의 못남을 인정하고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가를 고민할 때 성장할 수 있다. - 자의식 해체 3단계 : 탐색(질투/불쾌/공격성/비뚤어진 생각) → 인정(객관적 시각 확보) → 전환(밑바닥에서 부터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정리/그들의 노하우는 뭘까) ❚ 2단계 : 정체성 만들기 - 정체성을 의도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체성을 마음대로 갖고 논다면 자유를 얻을 확률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 정체성 변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구체적인 방법 : 책을 통한 간접 최면(해당분야 20~30권 독서).. 2022. 9. 26.
지구단위계획 물류개발사업 일정 인허가 방식 중 지구단위계획 사업으로 진행할 때의 물류개발사업 일정 사례입니다. (물류 지구단위계획의 경우, 공식적인 명칭은 산업유통형 지구단위계획) ❚ 왜 지구단위계획 사업으로 진행하는가? - 물류 지구단위계획은 대부분 비도시지역(도시지역에 비해 활용 가치가 많이 떨어짐)에서 이루어지는데, 용도지역을 상향시킬 수 있고, 용적률/건폐율 등도 상향시킬 수 있다. → 토지의 기본적인 가치를 높일 수 있다. (ex. 지구단위계획 구역에 있는 일부 농림지역이 계획관리지역으로 변경) - 개발면적이 광범이 할 경우, 체계적인 관리계획이 필요하다. → 소규모로 개발할 경우, 건축부지 위주로 단순 계획을 하지만, 규모가 광범이 할 경우에는 건축부지 외에 공원, 저류지, 도로, 지원시설 등 기반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022. 9. 23.
경계침범 확인 사례 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토지의 경계가 분명해야 합니다. 그런데 오래된 건물들이 밀집된 지역의 경우, 대부분 공식적인 경계확인을 했던 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경계침범의 사례가 종종 있습니다. 경계침범으로 인해 소송까지 가는 경우도 있는데, 건축을 계획하고 있다면 사전에 확인하여 리스크를 햇지해야 하겠습니다. 공공기관 LX공사(한국국토정보공사, 舊대한지적공사)의 지적현황측량 의뢰를 통하여 경계침범의 확인이 가능하며, 다른 민간 업체(토목측량사무소)의 지적현황측량은 참고만 될 뿐 공식적인 자료로 사용하기는 어렵습니다. 아래의 경우, 점유선과 각 번지의 점유면적이 경계침범의 범위를 보여주고 있는데, 결론적으로 중앙에 있는 293-11번지 토지는 타인이 129㎡를 점유(경계침범)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측.. 2022. 9. 20.
물류부동산 개발방식 인허가 비교 분석 물류부동산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물류부동산은 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과는 달리 특수한 성질이 있어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분야이기도 합니다. 특히 임차인과의 관계 설정이 중요한데, 임차인의 분야별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들의 Needs를 개발 내용에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개발 초기의 땅과 인허가에 대한 이슈를 정리하는 부분이 중요한데, 타 분야에 비해 일반적이지 않고 복잡하기 때문에 쉽지만은 않습니다. 물류부동산을 개발하면서 직접 경험했던 내용을 중심으로 하나씩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개괄적인 내용으로서 개발방식(인허가)에 대한 비교를 첨부와 같이 요약해보았습니다. 2022. 9. 15.